過月號
과월호
지난 매거진 보기
SCROLL
-
Vol.07 2024
웹진 진주, 7호#진주상무사, 꽃밥
-
S1. 진주를 탐하다
진주상무사의 역사 -
S2. 진주를 맛보다
하얀 쌀밥 위에 피어난 진주 '꽃밥' -
S3. 진주를 말하다
한국 차 문화의 근원, 진주 -
S4. 진주를 명하다
진주세계민속예술비엔날레, 문화와 평화를 잇다 -
S5. 진주사투리
유정숙 이야기 할머니가 들려주는 진주사투리
-
-
Vol.06 2024
웹진 진주, 6호#까꼬실마을 기억을 걷다
-
S1. 진주를 탐하다
까꼬실마을 -
S2. 진주를 맛보다
의로운 부잣집’이라 불리는 효주 허만정 집안 내림음식 ‘찜국’ -
S3. 진주를 말하다
왕기영 진주문화관광재단 대표이사 -
S4. 진주를 명하다
2024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 -
S5. 진주사투리
<에나식당> 김윤상 대표가 들려주는 진주사투리
-
-
Vol.05 2024
웹진 진주, 5호#기업가정신, 진주
-
S1. 진주를 탐하다
지수승산부자마을 | 부자의 기운을 찾아서 한 걸음 나아가다 -
S2. 진주를 맛보다
앉은키밀 | 진주에서 살아난 토종 씨앗 -
S3. 진주를 말하다
의암별제 | 진주교발 전통춤 계승,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다 -
S4. 진주를 명하다
제55회 충무공 이순신 탄신 기념 행군 | 대아고등학교 -
S5. 진주사투리
진주 최초의 사진관<에나사진관> 김윤상 대표가 들려주는 나무전거리 이야기
-
-
Vol.04 2024
진주문화관광재단 웹진 진주, 글꽃으로 피어나다#웹진 진주 ; 지금부터 시작
-
S1. 진주를 탐하다
경상국립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의 눈을 빌어 청곡사를 살펴보다 -
S2. 진주를 맛보다
사계절을 담아낸 진주 헛제삿밥 -
S3. 진주를 말하다
한지의 우수성과 한지로 만든 작품의 아름다움을 음미하는 시간 -
S4. 진주를 명하다
책에 대한 마음을 나누는 문화의 내일, 진주문고 -
S5. 진주사투리
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 어린이해설사가 알려주는 진주사투리 -
S6. JINJU STORY
우제 강봉준 | 캘리그라퍼, 전각가, 서예가, 글꼴연구소 붓소리 대표
-
-
Vol.03 2023
야간관광 콘텐츠와 여행하모 진주에 대한 정보가 한가득#야간관광 특화도시, 진주시
-
S1. 사람을 만나다
(재)진주문화예술재단과 함께하는 진주남강유등축제에 대한 이야기 -
S2. 문화를 만나다
진주시의 문화적 품격을 대변하는 ‘진주문화원’ 진주다움을 알리다 -
S3. 전지적 진주시점
‘여:기 쉼표 행:복 찾아 진주’ 참가자 이야기 -
S4. 어디까지 먹어봤니
북쪽에는 평양냉면, 남쪽에는 진주냉면 | 냉면의 본고장, 진주 -
S5. 진주 人 진주
야간관광 특화도시, 빛의 도시 진주_야간관광 콘텐츠를 품다 -
S6. 진주 사투리
개미가 없네, 요새 메러치가 그리 안 난다캐?(feat.배건네 할머니 그림 모임)
-
-
Vol.02 2023
오늘의 진주, 내일의 전통 & 미래#항공우주산업의 미래 #예술가 #진주만의매력점 #토속음식,소울푸드 #공예
-
S1. 사람을 만나다
ANH스트럭쳐 대표 안현수 | 항공우주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 -
S2. 문화를 만나다
한국예총진주지회 주강홍 지회장 | 예술가와 감상자 교류와 소통 -
S3. 전지적 진주시점
경남에서 한 달 여행하기 | 여행자의시선으로 진주만의 매력점을 찾다! -
S4. 어디까지 먹어봤니
토속음식 가리장, 들녘의 애환을 달래다 | 엄마가 남기고 간 유산이자 소울 푸드 -
S5. 진주 人 진주
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| 옛 것에서 창조한 새로운 것 -
S6. 진주 사투리
새첩다 | 경상국립대학교 국어문화원+배건네공작소+진주시민과 함께하다
-
-
Vol.01 2023
진주시 문화발전과 관광진흥을 위한 진주문화관광재단 웹진진주문화관광재단 웹진 창간
-
S1. 사람을 만나다
진주문화관광재단 조규일 이사장 | 지속가능한 문화적 토양에서 문화도시를 만들다 -
S2. 문화를 만나다
트로트신동에서 고향 진주 대표 가수로! 가수 오유진 | 최연소 진주시 명예 홍보대사 선정 -
S3. 전지적 진주시점
호기심 많은 여행작가, 정은주 | 여:기 쉼표, 행:복 찾아 진주(진주형 한달살이 프로그램) -
S4. 어디까지 먹어봤니
백년가게 중앙집 | 3대째 이어온 전통의 비법, 변함없이 지켜온 맛 SINCE 1972 -
S5. 진주 人 진주
2023 전국생활문화축제 | 진주에서 만난 전국의생활문화, 즐기는 모두가 주인공 -
S6. 진주 사투리
응가, 파이다, 반주깨비 | 경상국립대학교 국어문화원+배건네공작소+진주시민과 함께하다
-